5학년 국어의 설명하는 글쓰기 차시와 관련하여 아이들에게 학급신문에 글을 올린다고 생각하고 자신이 잘 아는 주제에 관하여 글을 쓰도록 했습니다. 아이들이 각자 좋아하는 운동, 연예인, 자기자신 등 어떤 주제도 상관없이 할 수 있게 했습니다.
교과서의 내용들이 빈약한 부분들이 있어 에듀테크 도구들을 사용하여 수업을 재구성해보았습니다.
글 내용 떠올리기

글의 주제를 잘 떠올리는 아이들이 있다면 그렇지 않은 아이들도 있죠? 즉흥적으로 챗GPT에 5학년에 쓸 만한 주제를 검색해 보았습니다. 권장연령이 아이들에게 해당되지 않아 아이들에게 직접 사용하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제가 대신 검색하여 보여주었습니다.




떠올린 주제를 다양한 '자유롭게 떠올리기'와 '몇가지로 나누어 떠올리기' 두가지 방법 중 하나를 택하여 떠올리도록 하였습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들을 적게 하다보니 다양한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되었습니다.
내용 다발짓기
자유롭게 생각한 글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해 내용을 조직화시켰습니다. 교과서에 나오는 다발짓기 틀은 처음-가운데-끝으로만 되어 있어 아이들의 글 내용과 맞지 않는 부분들이 있었습니다.
저거는 안 맞는데요?
제가 사실 미리 아이들이 조직화하도록 준비했으나 시간 상 안될 것 같아 교과서 활동으로 하려고 했는데 아이들이 직접 말하더라고요. 그래서 캔바로 미리 제가 만들어놓은 글내용에 알맞은 다발짓기 틀 템플릿을 안내하고 수정하여 사용하도록 하였습니다.
아이들이 자신에 맞는 교육자료를 선택하고 수정할 수 없는 교과서를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스스로 재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것이 새로운 교과서의 방향인 듯 합니다.



캔바를 많이 사용했던 터라 잘 구성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제시했던 틀은 아래 링크로 볼 수 있습니다.
https://www.canva.com/design/DAFgdfSXceM/Gqz1SkWwrlNJSeZr6Y1h_w/view?utm_content=DAFgdfSXceM&utm_campaign=designshare&utm_medium=link&utm_source=publishsharelink

처음 중간 끝으로 다발 짓기를 한 학생입니다. 글 내용을 잘 조직했습니다.

비교와 대조에 관하여 제시한 틀을 사용한 학생입니다. 글내용과 다발짓기 틀이 아주 잘 맞아 떨어집니다.


기준을 가지고 글내용을 분류하고 나열한 학생들입니다. 이 친구들도 틀을 잘 사용하였네요.


틀을 다양하게 수정한 친구들입니다. 자신의 필요에 맞게 시간순으로 다발짓기를 만들어서 수정하거나, 분류하는 방식에서 다른 범주임에도 불구하고 공통으로 들어가는 부분을 엮어서 다발짓기를 완료했습니다. 원인과 결과를 이용하여 다발짓기를 한 친구도 있었는데 파일이 보이지가 않아 아쉽네요.
설명하는 글 쓰기
하이클래스에 올려서 부모님도 보시게 될 거야~
공개될 글이라고 하면 학생들은 더욱 신경을 많이 씁니다. 이번엔 열심히 글을 조직한 만큼 공개해보려고 하였어요. 이전에 아이들이 시 내용을 바꾸고 캔바로 꾸며 학부모님께 공개한 적이 있었는데 반응이 매우 좋았습니다.


이제 학생들이 다발짓기 한 결과를 가지고 글을 쓰게 하였습니다. 확실히 무작정 글을 쓰는 것보다 다발짓기를 해보니 아이들이 쓴 글의 분량이 엄청 많더라고요. 확실히 미리 글을 조직하고 쓰면 아이들의 글쓰기의 퀄리티가 급상승합니다.'

교실에서 투자를 하다보니 넥슨 주가를 분석한 친구도 있네요~ 애널리스트가 될 재목인듯 합니다ㅎㅎ

축구에 대한 글을 쓴 학생도 있고

좋아하는 연예인을 적은 학생들도 있습니다.

공통점과 차이점을 적은 아이들도 있네요~

말썽꾸러기 친구 한명이 대충 쓰고 도망가서 올리는 건 포기했지만 다양한 도전을 해본 수업이었습니다. 교과서의 한계를 에듀테크 도구로 보완하는 방법에 대한 인사이트도 얻은 수업이었고요.
생성형 ai를 도입하는 수업에 관한 아이디어도 떠올린 수업이었습니다. 오늘도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월도쌤 이성강이었습니다!!!
'월도쌤의 디지털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사이트에 소셜댓글 설치하기 (라이브리) (0) | 2023.04.28 |
---|---|
지구의 날 뉴진스 따라잡기(ZEP, 디지털리터러시 수업) (0) | 2023.04.21 |
Ai융합수업 만들기 (사회 수업) (0) | 2023.04.14 |
매쓰홀릭T(수학 AI코스웨어) 분석 (3) | 2023.04.04 |
2023 스마트교육학회 방문 후기 (1) | 2023.03.26 |